Home 전시· 사업 회원전시

회원전시

맹혜영 개인전 <무경계의 회화 (Painting as Non-Territorialities)>

전시장소 갤러리 더플럭스& 더 플로우 전시기간 2023년 4월18일 ~ 2023년 4월30일 전시작가 맹혜영

맹혜영 Young Maeng

 

Arist Website: www.hyeyoungmaeng.com

 

Email: hyeyoungmaeng@gmail.com

 

HP: 010-4079-0609

 

1.전시제목무경계의 회화 (Painting as Non-Territorialities)

 

2.전시작가: 맹혜영 (Young Maeng)

 

3.전시기간:  2023 4 18()~ 430()

 

4.전시시간: 12pm~6pm (430, 12pm~4pm)

 

5. 전시 오프닝: 418, 4pm~6 pm

 

5.전시장소: 갤러리 더플럭스& 더 플로우 (사이아트센타 2)

서울시 종로구 윤보선길 28(안국동 63-1)

 

 

 

<경력>

 

2018 Lancaster University, PhD in Contemporary Arts, (UK)

2012 San Francisco Art Institute, MFA in Fine Arts Painting (USA)

1999 경희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한국화 석사졸업

1996 경희대학교 미술학과 미술교육 한국화 학사졸업

 

개인전

2023 무경계의 회화, (갤러리 더플럭스 & 더플로우, 서울)

2020 사건의시간, (갤러리도스, 서울)

2019  Return of the Real, (King Street Gallery, UK)

2018  Fractured Affection, (King Street Gallery, UK)

2018  PhD Viva Show, (LICA Building, Lancaster University, UK)

2016  Painting as Documentation Art, (Peter Scott Gallery, UK)

2015  Documentation Art and Korean Bunche Painting, (Campus in the City, 영국)

2014  Somewhere In-Between, LICA, (랑카스터 대학교, 영국)

2012  Perfumed Violence, (Phoenix Hotel, San Francisco, USA)

2007 연못 이미지, (한가람 미술관, 서울)

2004 연못에 투영된 즐거운 상상, (공평아트센타, 서울)

1999 연못 이미지, (인사갤러리, 서울)

 

ART FAIR

2021  마니프 서울 국제 아트 페어, (한가람 미술관, 서울)

2020  마니프-뉴시스 온라인 아트 페어, (온라인 전시)

 

단체전

2022  Art Communication, (Espace Sorbonne 4, Paris, France)

2022 오래된 미래와 새로운 과거, (세종미술관, 서울)

2022 모두를 위한 미술교육, (경희 갤러리, 서울)

2022-2020 교수 작품전, (일락 갤러리, 공주교육대학교, 공주)

2022  황창배를 기억하다, (동덕 미술관, 금보성 아트센타, 서울)

2021  다시 걷다, (혜화아트센타, 서울)

2020  행복팔경, (세종미술관, 서울)

2020  실험영화와 영상 국제전, (CICA 미술관, 김포)

2020  Art of Still Life, (3 Square Art Gallery, Fort Colins, USA)

2018 메모리53, (경희미술관, 서울)

2018 LA Summer Exhibition, (King Street Gallery, UK)

2018–2015 FASS Building Art Show, (Lancaster University, UK)

2017  Documentation Art, Sandys 상영, (FACT, Liverpool, UK)

2016 미인도취전, (세종미술관, 서울)

2015 In-Betweenness, (The Storey Gallery, UK)

(외 국내외 단체전 40여회)

 

수상

2022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지원금 (한국연구재단)

2018 Finalist for Experimental Film Award, New Wave Short Film Festival, (Munich, Germany)

2017 AHRC NWCDTP 박사과정 학술대회, 아트분야 장학금 수상, 리버플 대학교, 영국

2014 Batsford Prize 대상 수상, 런던, 영국

2005 충남문인화대전 입선

1999 춘추미술대전 입선

 

교육경력: 현 공주대학교 강사

역임 공주교육대학교 강사

Lancaster University, LICA (UK), 미술학부시간강사

Loughborough University, 미술대학 회화 강사

Tullie House Museum and Art Gallery (UK) 중국화 강사

King Street Gallery (UK), 한국화 강사

한국 문화원 한국화 강사 (런던)

 

기타

한국미술협회회원, 한국미디어아트 협회회원, 한국화여성작가회, 회토회,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이사

 

 

작가노트(Artist's statement) 

 

버려지고 부서진 것의 이미지는 오래된 나의 관심사이다. 왜냐하면 분열된 이미지는 보는 이에게 쾌와 불쾌의 감정을 동시에 일으키기 때문이다. 작품에서 표현된 것처럼 삶에서 당연한 것으로 여겼던 것들이 부서져 내리는 순간의 경험은 존재론 적인 고통을 일으킨다. 이러한 순간은 지금까지 원활하게 작동하던 모든 기능을 식별불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버린다. 기존의 아이디어로 해석되지도 해결되지도 않은 이러한 감각운동도식이 무너진 상태를 후기 구조주의 철학자 들뢰즈는 시간 이미지로 명명한다. 나는 시간 이미지의 기존의 경계를 해체하고 새롭게 재배치하는 창조적 기능에 오랜 동안 매료되었다. 시간 이미지는 규정된 경계를 깨고 출현하는 무경계의 확장성이며, 잠재성의 증폭을 의미한다.

무경계의 회화는 회화의 존재론적 측면과 사회적 기능을 탐구하는 Expanded Painting Project이다. 기술적인 면에서 재료의 한계를 넘어서 전통적인 한국화 재료와 서양화 재료를 한 화면에서 융합하고, 회화와 사진, 그리고 디지털 프린트의 경계를 실험한다. 내용적인 면에서는 버려지고 부서진 일상용품과 인공지능 로봇의 이미지를 통해, 앞으로 안전하고 건강한 인간과 AI 로봇의 관계 형성에 관한 윤리적 질문을 던진다. 쾌와 불쾌를 동시에 일으키는 형상을 통해 인공지능 동반자 로봇이 배울 수 있는 인본주의적 가치와 아름다움, 그리고 상생의 윤리에 대해 질문하고 탐구하는 프로젝트이다.

 

I am intrigued by the imagery of discarded and broken objects because it simultaneously evokes feelings of pleasure and displeasure in the viewer. The experience of seeing things that were once considered ordinary and stable in life suddenly crumble and fall apart can cause existential pain, rendering all previously functioning faculties "indistinguishable." The post-structuralist philosopher Gilles Deleuze refers to this state, where previous conceptualizations of ideas are neither interpreted nor resolved, as a "time-image." I have been fascinated by the creative function of dismantling the boundaries of time-images and rearranging them in new ways. Time-images represent an expansion of non-territorial scalability that amplifies potentiality.

 

The "Painting as Non-territorialities" project explores the ontological and social functions of painting. Technically, it combines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materials, pushing the limits of experimentation with materials and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painting, photography, and digital prints. In terms of content, it raises ethical questions about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safe and healthy humans and AI robots through the depiction of discarded everyday objec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Through images that evoke both pleasure and discomfort, the project explores fundamental values and beauty of humanity that AI companion robots can learn, as well as the ethics of coexistence, equity, and inclusion.



3ecf4565851a8351bf3a65d154c8b948_1681197

본문